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구름이 알려주는 일기예보 일기예보는 과연 어떻게 하는걸까? 뉴스에서 일기예보를 보다 보면 우리나라에 구름이 많거나 적은모습을 볼수 있다. 또한 구름의 이동에 따른 강수량을 예측하거나 혹은 비가 올 확률을 예측하기도 한다. 비가 온다는 소식이 있어서 집에만 머무르고 있었는데 비는 안오고 날씨는 덥기만 하다. 그렇다면 기상청에서 실수를 한걸까? 기상청에는 슈퍼컴퓨터를 이용해서 구름의 생성과 이동등에 관한 내용을 예측을 하고 이를 통해 날씨를 예측을 하게 된다. 하지만 첨단장비를 이용한 일기예보가 가끔은 어긋날때도 있다. 기상청의 예보를 듣기는 하지만 우리 스스로도 일기예보를 할수있다. 바로 하늘에 떠있는 구름을 보고 스스로 판단할수있다. 구름을 분류하는 조건에는 모양과 높이를 기중으로 나눌수 있다. 모양에 따라서는 층운형 구름과 적.. 더보기
구름 구름이란 무엇인가? 공기중의 수증기가 먼지등의 물질과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떠있는 상태를 구름이라고 한다. 안개와 사실상 성분이 같은데 높이 떠있으면 구름이고 지표면에 닿아있는 경우는 안개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산위의 걸쳐있는 구름은 산위에 올라가 있는 사람에게는 안개가 되는 것이다. 구름은 몇가지 이유에 의해서 생성이 된다. 첫번째 대기의 불안정을 들수 있는데 태양광의 지표면 가열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가 상공의 찬 공기쪽으로 상승을 하게 된다. 대류현상에 의해 찬공기는 반대로 뜨거운 공기밑으로 내려가려한다. 뜨거운 공기가 상승기류를 만들어 내는 곳에는 국지성 저기압이 형성이 되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조건이 생성된다. 충분한 수증기가 있다면 유사 단열팽창을 통해서 기온이 낮아지는 공기는.. 더보기
호우 호우는 무엇일까? 호우는 일반적으로 많은 비가 오는 것을 말한다. 대우나 강우등의 용어로 대신하기도 한다. 한반도의 호우는 주로 여름철 장마전선상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태풍이 들어올때도 호우를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봄철에도 저기압이 발달을 하면서 한반도를 통과한다면 이때에도 비가 오는 경우가 많다. 단기간에 많은 비를 동반하기도 하기때문에 집중호우라는 표현을 하기도 하고 꼭 단시간에 많은 비를 동반하는 경우가 아니라 총강수량이 많은 경우에도 호우라고 한다. 홍수 및 침수 등의 피해를 발생하게 하는 정도의 많은 비를 가리킨다. 우리나라는 주의보와 경보의 형태로 특보를 발표하는데 호우주의보의 발생기준이 12시간 강우량이 80mm이상이 예상될때에 발표를 하고 호우경보의 수준은 12시간 기준 강수량이 15.. 더보기
빙하기 잘아는것 같지만 잘모르는 빙하기이야기 우리에게 친숙한 아기공룡 둘리라는 만화가 있습니다. 만화로 표현이 되어 있지만 주인공 둘리는 빙하기를 거치면서 빙하속에 얼어있다가 빙하가 떨어져 나가서 서울까지 흘러들어온다는 다소 황당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전개가 됩니다. 만화지만 왠지 심호한 이야기입니다. 빙하속에서 여러 생물체가 뱃속에 소화를 시키던 그대로 발견이 되는것은 갑자기 온도가 급속히 낮아져서 빙하속에 있게 되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빙하기가 오면서 오래전 살던 공룡이 멸종을 했다는 이야기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죠? 현재의 산업화와 지구온난화를 겪고 있는 현시대에는 상상하기 힘든 이야기일수도 있습니다. 만약에 점점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고 있는 시점에 빙하기가 다시 온다면 어떻게 될까요? 온다.. 더보기
산성비와 대기질 지수 산성비와 대기질지수를 알아보자. 산성비는 비와 생명질이 만나면서 성질이 변하면서 산성화된 비를 뜻한다. 산성비는 식물이나 물속생물 그리고 건물등 모든 분야에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산성비는 주로 대기 내에서 반응하는 산성르 생성하는 황과 질소 혼합물이 인간에 의한 자연의 파괴와 산업화에 의한 오염에 의해 분출이 된다. 근래들어 전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이를 방지하기위한 법률을 만들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의 PH농도는 5.6정도로 약산성을 띄고 있다 .화학물질과 결합한 비는 산성도를 높히게 되고 이런 산성비가 지면에 떨어지게 되면 건축물들을 녹이거나 강과 호수등의 동물들을 죽이게 될수도 있다. 산성비의 더 정확한 용어는 산성 석출이라고 한다. 증류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지 않고 중성의 7.0PH농도를 지니게.. 더보기
광합성작용이이란? 광합성작용이란 무엇일까? 광합성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물을 주원료로 식물이 녹말과 산소를 생성해 녹말은 당의 형태로 저장을 하고 산소는 배출을 하는 것을 말한다. 물과 이산화탄소를 빛에너지를 이용해 산소와 포도당으로 만들기에 주로 낮에 이루어 진다. 반대로 밤에는 산소를 흡수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세포호흡을 한다. 생물에게서 에너지 확보는 가장 중요한 일이다. 생명을 유지하고 생명활동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각종 에너지가 필요한데 에너지가 바닥나면 생물은 생명력을 유지할수 없어서 곧바로 죽게된다. 생물들은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에너지 생성작용을 하는데 식물은 태양에서 오는 빛에너지를 이용해서 스스로 쓸수 있는 에너지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에너지를 생성해도 우리가 사용하는 배터리처럼 저장을 할수.. 더보기
북두칠성은 무엇일까요? 북두칠성은 무엇일까요? 북두칠성은 지구의 북반구에 떠있는 별들의 집합입니다. 국자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친숙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곱별은 천추,천선,천기,천권,옥형,개양,요광이라고 부릅니다. 영어로는 두베,메라크,페크다,메그레즈,알리오츠,미자르,알카이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다른 별보다도 구분하기 쉬워서 처음 별자리를 보는 사람들이 도전하기 쉬운 별자리 이기도 합니다. 북두칠성을 찾는다면 나침반이 없어도 북쪽을 구분할수 있을만큼 유용한 별자리 입니다. 북두칠성을 기준으로 시간을 알수도 있는데 북극성을 중심으로 북두칠성의 끝별 두개가 시침이라 생각하고 시각을 구합니다. 그리고 현재 날짜를 확인하고 3월6일을 기준으로 얼마나 날짜가 지났는지를 계산해 봅니다. 현재시각은 24에서 북두칠성의시.. 더보기
산사태는 무엇일까? 산사태는 무엇일까? 우리나라의 이번여름의 가장 큰이슈는 장마이다. 너무 많은 비가 한순간에 집중적으로 쏟아져 내리면서 제방이 무너지거나 산사태가 일어나고 침수피해가 일어나는등 많은 피해가 발생을 했다. 그중 산사태는 토양이나 암석들이 산의 기울어진 사면을 따라서 갑자기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자연현상을 말한다. 현재의 산사태는 자연재해와 인재로 나뉠수가 있는데 자연상태에서 일어나는 산사태는 산의 중간 혹은 아래부분의 풍화층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오랜시간동안 풍화작용을 통해 진행을 해왔던곳이 무너지는 형태이기에 그리 큰피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인재의 경우 산림을 훼손하고 도로공사를 하거나 아파트등 도시시설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약해진 지반이 무너지면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아서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 더보기